날짜 출력 함수 사용하기
date("Y-M-D", mktime(0, 0, 0, 월, 일, 년도)); mktime으로 2013년 8월 5일을 나타내면mktime(0, 0, 0, 8, 5, 2013);으로 나타내면 된다. 화면에 출력하기 위해 date를 사용하자date("Y-M-D", mktime(0, 0, 0, 8, 5, 2013));여기서 date("Y-M-D", 이 부분은 날짜를 어떻게 표시할지 정하는 부분이다.Y는 년도를 나타내고M은 월D는 일을 나타내는 기호이다. 그래서 저렇게 사용하면 출력결과는2013-Aug-Mon 이렇게 나온다. 영어로 나오는 이유는 기호를 대문자로 써서이다.Y 이면 2013 으로 나오고 y로 쓰면 13 만 나타난다.M이면 Aug ,m 이면 08 로 나오고D면 Mon, d면 05 로 나온다.
2013. 8. 5.
문자열 잘라쓰기
substr( "문자열", 자를 위치 , 사용할 문자 갯수); 이렇게 설명하는게 나을꺼 같기도하고.. 예를 들면 나는 년 월 일을 나눠쓰기 위해 사용했다.substr("20130805", 0, 4); //출력결과 2013substr("20130805", 4, 2); //출력결과 08substr("20130805", 6, 2); //출력결과 05 substr("20130805", 4, 2); //출력결과 08이걸로 설명을 쓰자면20130805 에서 두번째 인자인 4는 처음부터 네자리를 끊어라 이기때문에 2013까지 끊는다.세번째 인자 2는 2013 그 후부터 2자리를 끊어쓴다는 의미이다. 그래서년도도 마찬가지로 0이니까 끊을 위치는 0번째 부터고 4는 4자리니까 처음부터 네 자리 2013이나오고일은 6이니..
2013. 8. 5.